본문 바로가기
샐리 스토리

베트남의 음식 문화 소개. 베트남의 전통음식

by 리치샐리 2023. 5. 30.

 

 

1. 베트남 소개

베트남은 북쪽으로는 중국과 접해있고, 서쪽으로는 캄보디아, 라오스와 접하고 있습니다. 비옥한 레드강과 메콩강 사이의 삼각지가 발달하였습니다. 국토의 70%가 산지 또는 늪지입니다. 비엣족이 주 민족이며 이들은 평야지대에 살면서 중국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고, 그 외 타이족, 참파족 등 54개의 다민족 국가이며 수도는 하노이입니다.  베트남어를 사용하며 화폐단위는 베트남 동(VND)를 사용합니다. 인구는 23년 현재 9,885만 8,950명으로 세계 16위 입니다. GDP는 3,626억 3,752만 달러로 세계 40위에 있습니다. 기후는 지역마다 상당히 다른데, 대체로 5~10월 우기, 11월~4월까지가 건기 입니다. 북부에서는 6~7월, 남부에서는 8~9월에 강우량이 가장 많습니다.

 

2. 베트남 음식과 기후의 영향성

남북 기후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북부는 우기의 여름과 건기의 겨울이 있는 반면 남부는 연중 다습하고 덥습니다. 인구가 조밀한 북부 홍강 삼각주는 집약 농업이 이루어지며, 주요 작물은 쌀농사입니다. 홍강 주변 비옥한 땅에는 사탕수수, 코코넛 등의 농장이 많으며 음식맛은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방은 짠맛, 중부지방은 매운 맛, 호치민을 중심으로 하는 남부 지방은 단맛을 띠고 있습니다.

 

3. 베트남 음식의 역사.

1. 기원전 110년 ~ 기원후 970년

기원전 111년 초에 중국에 완전히 병합되 약 1000년간 중국의 지배를 받은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중국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나라입니다. 

2. 10세기 ~ 18세기

10세기경 몽고 민족이 베트남을 점령하였고 이때부터 베트남에서 쇠고기를 먹기 시작했습니다. 쇠고기로 국물을 낸 쌀국수 포(Pho)를 먹게 되었습니다. 베트남의 캄파(Campa)왕국과 푸란(Puran)왕국은 베트남 중부,남부 음식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인도로 가는 무역선의 중간 기작지였던 베트남 남부 지역은 커리 같은 향신료를 쉽게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향신료가 많이 들어간 요리가 발달했습니다. 또, 태국,라오스로부터 새우 페이스트, 레몬그라스, 바질, 민트 등이 동입되 맵고 자극적인 음식으로 발전하기 시작했습니다. 16세기 경 유럽 포르투갈, 스페인 탐험가들에 의해 토마토, 땅콩, 옥수수, 칠리 등이 도입되기 시작했습니다.

3. 1862년~1954년

베트남은 1860년 경 프랑스에 의해 또 식민지화 되었습니다. 언어를 통합하고 역사를 말살하는 혹독한 식민 정책으로 프랑스 영향을 받아 종교는 가톨릭을 받아들였으며, 음식문화와 언어에서도 프랑스풍이 성행하였습니다. 국물을 만들기 위해 소소기를 볶는 소테(Saute)와 끓여서 만드는 시머링(Simmering)의 조리법이 요리에 적용되었습니다. 상류사회에선 프랑스 생활양식을 많이 도입하였습니다. 아직 바게트, 빠떼, 커피, 페스트리, 아스파라거스, 껍질 콩, 감자 등을 많이 먹는 점은 이런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베트남의 바게트 빵인 반미(Bahn Mi)는 쌀가루를 섞어 만든 딱딱한 빵인데, 빵 안에 햄, 고기, 채소를 넣어 점심 대용으로 먹는 길거리 음식으로 많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4. 베트남 음식문화 특징

- 주식과 부식의 구별이 뚜렷합니다.

- 쌀을 가공한 쌀, 면, 쌀 만두피 등 쌀가루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많이 사용합니다.

- 불교(대승불교)의 영향을 받아 채식으로 구성된 사찰 음식문화가 발달했습니다.

- 날씨 영향으로 열대성 과일을 많이 섭취하고, 바나나잎으로 음식을 싸서 조리합니다.

- 태국 음식과 재료는 비슷하지만, 태국 음식보다는 신맛, 단맛, 매운맛을 내는 조미료를 적게 씁니다.

 

 

5. 베트남 지역별 음식 특징

어장 문화권에 속해있는 베트남에는 생선을 발효시켜 만든 액젓인 느억맘을 음식의 간을 하고 맛을 내는데 많이 씁니다. 느억맘은 생선이나 새우를 끓인 후 고추와 함께 버무려 만든 것으로 동남아시아 생선장의 원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짠맛이 많이 나며 한국의 장과 같은 기본 양념 재료입니다. 주로 밥을 비벼 먹거나 야채나 짜조(튀김만두)를 찍어먹습니다.

1. 북부 지역 : 하노이를 중심으로 발달한 북부 지역은 산악을 이뤄 겨울에는 날씨가 춥고, 온대성 채소가 많이 자라고 쌀이 풍부합니다. 소금,간장으로 간을 하여 간이 약하고 담백한 맛이 특징입니다. '넴부아베'와 '멘쿠우 루웅 사오' 등의 요리가 특색있는데 전쟁으로 많은 고통을 겪은 지역이라 조리법이 단순하고 직선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불을 사용하지 않는 조리 음식이 많습니다. 북부 지방 쌀국수는 육수가 담백하고 국물에 라임 주스와 후추를 많이 넣어 국물맛이 새콤하면서 매운 것이 특징입니다. 식사 전 후 차를 많이 마시며, 커피를 마시는 문화는 프랑스 , 미국, 이탈리아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2. 중부 지역 :  대표적 요리로는 '후에(Hue)'요리 입니다 옛 베트남 왕조 요리이며 한때 베트남 수도였던 후에는 아직도 그 당시 격식을 갖춘 궁중요리가 전통으로 전해져 내려오고있습니다. 칠리를 많이 사용하고 후추를 덜 사용하며 음식이 자극적이고 무겁습니다. 중부 지역 대표적인 쌀국수는 '분보후에'라고 하여 우동처럼 두꺼운 쌀국수에 어묵, 쇠고기, 돼지족발 같은 고명을 얹고 쇠고기 국물을 넣어 만든것으로 육수맛은 진하고 칠리고추로 연하게 색을 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먹을 때 라임을 띄우고, 소스나 설탕을 넣어먹기도 합니다.

3. 남부 지역 : 메콩강 하류에 넓게 퍼져 있는 베트남 제일 평야이며 곡창지대로, 연중 매우 더운 기후와 날씨가 습합니다. 음식 맛은 대체로 매운맛, 단맛이 많이 나며, 양념의 주가 되는 '다레'는 느억맘(Nuoc Mam)에 라임이나 매운 고춧가루를 섞어 만든 것입니다. 또한 간수이를 넣어 만든 중국식 노란 국수나 튀김면을 이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쌀가루를 이용해 만든 라이스페이퍼를 여러 종류 해산물과 각종 채소를 얹어 쌈으로 먹습니다. 남부 지역 요리는 주변 국가 프랑스, 미국, 태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쌀국수는 생채소를 많이 넣어 먹는 것이 특징입니다.

 

6. 베트남의 일상식

주식은 쌀이지만, 쌀이 찰기가 없고 조금 먹어서는 배가 차지 않아 쌀보다는 안남미를 더 좋아합니다. 간장, 마늘, 고추를 즐겨 먹고 고추는 크기가 작지면 많이 맵습니다. 간장은 집집마다 담으며, 음식의 간을 소금과 간장으로 합니다. 기름기 많고 매운 음식을 좋아하며, 식사 전후 차를 즐겨 마시거나, 커피도 기호에 따라 식후에 즐깁니다. 차를 끓인 물에 얼음을 넣은 차(Tra Da)를 물 대신 먹습니다. 한국의 냉녹차와 비슷합니다.

1. 아침 식사 : 쇠고기, 해산물, 채소를 넣은 죽(Chao), 닭고기, 돼지고기를 넣은 쌀국수 등 간단하면서 따뜻한 음식을 즐깁니다. 최근엔 프랑스 영향으로 프랑스 식빵, 크로와상, 모닝빵을 커피와 함께 먹으며 삶은 고구마에 육류와 땅콩을 잘게 다져 뿌린 요리도 먹습니다.

2. 점심 : 쌀국수, 차가운 국수 샐럳, 껌디아(접시에 밥,고기,채소를 얹은 것) 등을 먹고 대체로 가벼운 식사를 합니다. 현대에는 슈퍼, 인스턴트 음식점이 많아 빵, 샌드위치 등의 직장인들을 위한 메뉴도 인기 있습니다.

3. 저녁 : 가족과 함께 밥, 젓갈 발효음식(느억맘), 국, 생선, 고기, 채소, 피클 등을 원형 식탁에 놓고 먹습니다. 반찬으로는 숙주, 죽순, 부추, 가지, 두부 등을 먹고 중국의 영향으로 채소를 볶거나, 튀긴 음식이 대부분이며 거의 간단한 조리법이 사용됩니다. 비타민 섭취를 위해 단맛이 강한 열대 과일을 먹거나, 음식과 함께 후식류도 즐깁니다. 열대과일로는 드래곤 프루트, 망커우라고 하는 슈가애플 등이 있습니다.

 

7. 베트남의 특별식

1. 음력 정월(Tet)

베트남인들에게 1년 중 가장 중요한 행사인 뗏(Tet)은 음력 1월 정월에 조상 영혼이 1년에 한번 찾아 온다는 날인데 베트남에서 가장 큰 명절 입니다. 음력 1월 1~3일동안 행해지고 제일 화려한 색체에 둘러쌓인 축제 기간입니다. 각종 별식을 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반(Phan)이 있습니다. 반은 빵, 술, 과일, 닭고기, 떡, 쌀, 만두피 등의 의미를 가지며 설날에 먹는 빵은 반쯩이라고 합니다. 윗사람에게 세배를 하는 풍습이 있어 붉은 봉투에 세뱃돈을 넣어주고, 붉은색은 행운과 부를 의미합니다.

 

8. 베트남의 대표음식

1. 쌀국수(Pho) - 베트남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국민 음식으로, 주로 아침 식사로 제공됩니다. 쌀국수 종류도 매우 많은데 남부, 북부의 스타일 또한 다릅니다. 또 국물에 따라 닭고기, 쇠고기로 국물을 우려내고, 면도 굵은 면과, 얇은 면 등으로 나누는 등 매우 다양합니다. 쌀국수는 쌀가루를 불려 열을 약간 가한 판 위에 빈대떡 모양으로 얇게 펴고 그 위가 약간 꾸덕해지면 이것을 떼어내 차곡차곡 쌓아두었다가 칼국수보다 더 가늘게 썰어서 만듭니다. 그리고 국수를 커다란 그릇에 담고 파슬리, 샬롯, 생숙주나물, 육계피 등을 얹고 얇게 썬 쇠고기나 닭고기를 얹습니다. 기호에 따라 칠리소스나 레몬을 곁들이기도하고, 베트남 쌀국수 맛은 국물의 향초맛과 느억맘의 비릿한 맛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쌈(Cha hio 짜조) - 쌀국수와 함께 대표적인 베트남 음식으로 쌀로 만든 만두피에 잘게 썬 고기, 게살, 가느다란 국수, 버섯, 양파, 달걀 등을 넣고 기름에 튀긴것입니다. 

3. 음료 - 더운 날씨로 땀을 많이 흘려 수분이 많이 필요하지만  베트남 물은 석회성분이 있어 그냥 마시기엔 적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음료 문화가 발달되어 있고 물을 마실 때는 생수를 구입해 마시거나, 그 외 음료수, 사탕수수즙, 과일즙에 얼음을 넣은 음료수를 많이 마십니다. 가장 선호되는 음료는 차입니다. 베트남은 식후에만 차를 마시며 식사 중간엔 마시지 않고 차는 화차를 흔히 마시는데 장미, 자스민, 국화, 연꽃 등을 넣습니다. 인도네시아에이어 아시아에서 두번째 커피 수출국으로 진한 커피에 연유를 듬뿍 넣어 마시는 걸 좋아합니다. 술은 맥주를 많이 즐기고 베트남 현지에서 생산되는 맥주 종류만 20여가지가 넘고, 기호품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생맥주의 경우 도수가 낮고 수분이 많습니다. 마실 땐 큼직한 얼음을 넣어 시원하면서도 양을 늘려 먹는걸 즐깁니다.

4. 고아꾸온(goi cuon) - 베트남인들이 아침식사로 즐기는 요리로 닭고기,부추,향채,쇠고기,삶은새우 등을 반짱(라이스페이퍼)에 말아 생선소스에 찍어 먹습니다. 이것을 튀기면 짜조가 됩니다.

5. 반미(Banh mi) - 쌀을 주 재료로 밀가루를 섞어 만든 바게트처럼 생겼고 크기는 약 30cm정도로 약간 작습니다. 

6. 껌(com) - 쌀을 뜻하는 껌은 쇠고기, 닭고기, 새우 등과 함께 간단하게 식사를 할 수 있습니다. 덮밥과 유사한데 껌보(com bo) 쇠고기덮밥, 껌 까리가(com ca ri ga)닭고기 카레 덮밥, 껌 땀(com tam)새우덮밥이 대표적입니다.

 

9. 베트남의 식사예절

- 여러사람이 같이 먹을 수 있게 커다른 그릇에 음식을 담아 함께 먹습니다.

- 밥은 개인 밥그릇에 담은 후 먹을 때 밥그릇을 왼손에 들고, 입 가까이 대어 젓가락으로 먹습니다.

- 여럿이 먹는 음식을 개인 접시에 덜 때는 젓가락을 거꾸로 이용합니다.

- 밥그릇에 밥이 있을 땐 젓가락을 밥에 꽂지 말고, 밥을 다 먹은 후 젓가락을 밥그릇 위에 가지런히 둡니다.

- 식사 도중 숟가락을 식탁위에 둘 때는 먹은 흔적이 보이지 않게 엎어둡니다.

- 찬물보단 뜨거운 물을 마시며, 차는 조금씩 음미하면서 마시고 한꺼번에 마시지 않습니다.

 

 

[출처 - '책' 흥미롭고 다양한 세계의 음식문화, 세계 음식문화 개정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