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샐리 스토리

태국의 음식 문화 소개, 태국 전통음식

by 리치샐리 2023. 5. 29.

 

1. 태국 소개

태국은 thailand '타이'라고 하며 수도는 방콕입니다. 인구는 23년 기준으로 7,180 1,279명으로 세계 20위입니다. 그리고 화폐 단위는 태국 밧(THB)를 사용합니다. GDP는 5,059억 8,166만 달러로 세계25위에 해당합니다. 종교는 불교 95%, 이슬람 4%, 기독교 1%로 불교가 가장 많습니다. 국민들의 95%가 불교신자이며 절 안에 화장터가 있어 업을 다한 사람의 신을 태우고 영혼을 받아 들여 쉬게 한다고 여깁니다. 기후는 열대 몬순기후이고 전압은 220V, 50Hz 를 사용합니다. 위치는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 반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2. 태국 음식과 기후의 영향성

태국의 기후는 열대 몬순기후로 위치 상 싱가폴,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과 함께 중국 남쪽과 인도 동쪽 적도 부근에 위치해 열대 혹은 아열대 기후에 속하기 때문에 벼 재배가 발달하였고, 대부분 쌀(Indica종)을 주식으로 합니다. 또 태국은 '혀의 문화'라고 불릴만큼 미각이 발달한 나라로 향신료를 넣은 재료를 자유롭게 요리에 응용해 독특한 맛을 내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수백가지가 넘는 다양한 양념과 그에 따른 요리 종류도 수백가지에 이를 정도로 아주 다양한 편입니다. 지리적으로는 인도나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은 태국은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외세 침략을 받지 않은 나라입니다.

 

3. 태국 음식의 역사

13세기 이후 ~ 현재 : 13세기 이전 수코타이 왕국은 태국의 사회, 문화 전반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그러나 이후 1300년에 수코타이 왕국은 쇠퇴하고 신흥 세력인 야유타야 왕국이 종속국이 되었습니다. 1350년 설립된 야유타야 왕국은 1767년 미얀마에 의해 침략당할 때까지 47년간 수도로 남아 있었습니다. 태국은 중국, 인도와 활발한 교류를 통해 음식 문화에 많은 영향을 받았고 이는 19세기 말에 중국 남부인 광동성이나 복건성 주변에서 이민 온 화교들이 중국 서민 음식문화를 유입한 것이 계가가 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젓가락 문화가 크게 영향을 받았는데, 이는 중국 요리를 먹을 기회가 많기 때문에 자연히 젓가락 사용법을 익힌 사람이 많았기 때문이죠. 전 세계적으로 젓가락을 사용하는 나라는 중국, 한국, 일본, 베트남, 태국이 있습니다. 이슬람 교도가 많은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등에서는 돼지고기를 좋아하고 불교와 도교를 믿는 중국인과의 동화가 매우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태국은 도교도도 많고 혼혈도 많아 중국 요리를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 많습니다.

태국 불교는 소승불교 일종으로 '테라와다 불교'라 불리고 생사가 무한정 거둡되는 윤회의 세계를 믿으며, 태어난 신분과 환경을 인정하고 공덕을 많이 쌓아 다음 세대에 더 나은 신분으로 태어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현실을 비관하지 않고 맡은 바 일을 열심히 합니다.

 

4. 태국 음식문화의 일반적 특징

- 주식은 '안남미' 라는 쌀로 만든 밥으로, 주로 찰기가 없는 밥을 먹는데 하얀 밥을 해 볶아 먹거나 여러 종류의 커리를 얹어 먹습니다.

- 중국 영향을 많이 받아 면류, 장류, 액젓류 등이 발달하였는데 특히 멸치액젓과 유사한 남플라(nam pla)가 간장과 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 소승불교 국가인 태국에선 해산물이 주요 단백질 급원이며, 태국인들은 단백질 50%이상을 물고기에 의존합니다.

- 음식맛은 매운맛, 고소한 맛, 달콤한 맛, 신맛이 어우러진 여러 복합적인 맛이 존재합니다.

- 강한 조미료와 향신료의 사용이 많습니다. 단맛(설탕, 야자당, 카티; 코코넛밀크), 매운맛(프릿키누라; 작은 고추, 생강), 고소한 맛(땅콩, 코코넛 밀크), 신맛(식초, 라임 타마린느), 자극적인 맛으로는 동남아시아 액젓인 남플라(생선 간장), 가피( 새우젓)을 들 수 있는데 태국인 매끼 식사마다 빠지지 않는 음식입니다.

- 육류는 돼지고기, 쇠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순으로 선호하고, 채소류보다는 즐기지 않습니다.

- 태국 고추가 세계적으로 유명한데 더운 날씨로 인해 매운 음식을 상당히 즐깁니다.

- 가까운 인도의 영향으로 커리를 많이 먹습니다.

 

5. 태국 지역별 음식 특징

1. 북부지역, 북동부지역 : 예전 란나 왕국의 수도였던 치앙마이(Chiang Mai)를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고, 산맥으로 형성되 산림이 우거져 있으며, 중부나 남부에 비해 고립된 지역입니다. 다른 지역 음식보다는 덜 자극적이고 담백한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지역 음식은 라오스와 미얀마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라오스 영향을 받은 것으로는 익힌 민물고기와 튀긴 돼지고기를 남 플릭 넘(Nam Prik Nuum)이란 소스에 찍어 먹는 것이 있고, 미얀마 영향을 받은 요리로는 닭고기나 쇠고기 국물에 밀국수를 넣고 신선한 라임에 절인 양배추를 곁들여 먹는 '카오 소이(Koi Soi)'와 돼지고기, 땅콩, 생강이 들어간 카레 '카앵 홍 래(Gaeng Hong Lae)' 등이 있습니다. 이 지역 사람들은 찰기 많은 찹쌀이 주식이며, 쪄낸 밥을 좋아합니다. 밥을 지어 주먹밥 형태로 만들어 소스, 커리에 찍어먹는 걸 좋아합니다. 음식 맛은 남부지역보단 담백하지만 매운맛, 짠맛, 신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부분 음식에 국물이 들어가며 오래 끓인 돼지뼈 육수를 사용합니다. 북동부 지역은 북부지역과 마찬가지로 찹쌀이 주식이고, 다른 지역과 달리 코코넛 밀크보다는 주로 민물고기를 이용해 맵게 발효시킨 생선, 개미알, 굼뱅이, 메뚜기, 달팽이 등을 넣어 만든 커리가 유명합니다. 북동부 지역 요리는 북부지역과 달리 칠리를 많이 사용해 매우 맵고 자극적인 것이 특징입니다.

2. 중부지역 : 방콕이 중심이 되는 중부 지역은 세계적 규모의 곡창지대로 멥쌀을 주식으로 하며, 코코넛 밀크, 고추, 박하 등을 사용해 걸쭉하게 만든 음식과 중국의 영향을 받은 음식들이 많습니다. 해변가가 있어 생선, 조개류가 풍부하고, 육류보다는채소, 매운 칠리고추, 터메릭, 새우 페이스트 등 신맛이 강한 과일을 이용해 음식들이 강렬한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징으로는 칠리, 라임, 남플라, 고수, 코코넛오일 등을 많이 사용합니다.

3. 남부지역 : 하천 침식으로 만들어진 평야지대이며, 매운맛, 짠맛, 신맛이 강한 편입니다. 코코넛이 사용되는 음식이 많고, 인도 음식의 영향을 받아 향신료를 많이 사용합니다. 주변 해안,바다에서 신선하고 풍부한 해산물을 구할 수 있기 때문에 해산물 요리가 발달되어있습니다.

 

6. 태국의 일상식

태국인들은 적은 양이지만 하루 세 끼의 식사를 합니다. 그 대신 과일, 빵류의 간식을 매우 즐깁니다. 가정에서 주식은 밥이 기본이며, 부식인 반찬으로 구성되 있습니다. 밥을 큰 그릇에 담아 식탁 가운데, 반찬은 밥 주위에 두고 먹을 만큼 각자 접시에 덜어서 먹습니다. 태국 음식은 5가지 기본맛을 내는 조미료가 특징인데, 신맛은 향미를 북돋아주며 라임주스, 타마린드 주스를 이용하며, 그 외 코코넛이나 쌀로 만든 식초 등을 이용합니다. 칠리는 매운맛의 재료로 사용하는 것인데, 말리거나 페이스트나 소스로 시중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또 통후추,생강,양파,마늘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발효된 생선 소스인 남플라는 여러가지 재료의 맛을 상승시켜주고, 짠맛의 조미료는 새우를 발효해 만든 캡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팜슈가(Palm Sugar)는 태국 음식에서 단맛을 내는 것으로 향신료나 허브향이 들어가는 음식에 흔히 사용됩니다.

- 아침 : 죽, 식빵 등 가벼운 음식을 먹고 직장인들과 젊은이들 사이에는 간단한 단품요리인 태국식 커리라이스를 즐깁니다. 이를 '카우깽'이라고 하는데, 식성에 따라 달걀, 육포, 채소들을 곁들이기도 합니다. 또 카오톰(Kao tom)이라는 쌀죽에 닭고기, 돼지고기, 생선, 피클을 곁들이기도 합니다.

- 점심 : 간단하게 먹습니다. 길거리 리어카에서 파는 쌀국수나 '꾸어띠여우'라고 하는 면 종류나 만두 종류 또는 밥과 다양한 반찬을 먹습니다. 면류를 먹을 땐 스푼, 포크 대신 젓가락과 중국식 우묵한 숟가락을 사용합니다. 면 위엔 달걀, 삶은 육류를 얹어 먹기도 합니다. 밥은 주로 볶음밥을 먹고, 밥을 한그릇 추가해 국수 국물에 말아먹기도 합니다.

- 저녁 : 하루 식사 중 가장 푸짐합니다. 태국 특유의 여러가지 소스와 각종 채소, 생선튀김, 구이가 기본 음식인데 특히 '크르엉찜' 또는 '남프릭'이라 하는 걸쭉한 태국 특유의 소스는 모든 국민이 가장 즐기는 소스 중 하나입니다. 그 외에 볶음, 달걀요리, 스프, 육포, 염장어 등 기호에 따라 선택합니다. 후식으로는 푸짐한 열대 과일과 단맛이 강한 과자류를 즐깁니다. 저녁에는 볶음요리와 스프(깽)이 가장 특별한 음식인데, 어떤 재료를 사용하냐에 따라 식사 평가가 이루어집니다.

 

7. 태국의 대표음식

1. 똠얌꿍(Tom yam gung) : 매콤한 태국식 새우 스프로 태국을 대표하는 음식입니다. 매콤하면서 새콤한 독특한 맛을 지니는데 세계적인 해산물 스프입니다.

2. 커리(Curry) : 태국커리는 향신료와 양념을 섞어 놓은 액상 페이스트입니다. 요리 시 향을 내고 잡내를 제거하기 위해 기름이나 코코넛 밀크에 볶아 사용합니다. 향신료나 재료에 따라 커리 페이스트가 다릅니다. 인도커리와 차이점은 대게 어장 남플라(간장같은 것)를 써서 간을 하기 때문에 독특한 맛이 납니다.

- 레드 커리페이스트 : 붉은 칠리가 주재료이며, 시나몬, 생강, 샬론, 레몬그라스, 코리엔더, 새우 페이스트를 함께 넣고 간 것입니다. 쇠고기나 닭고기 커리에 많이 사용됩니다.

- 그린 커리페이스트 : 초록색 칠리에 여러 향신료를 넣은 것으로 레드커리보다 덜 맵고, 닭고기 커리에 주로 이용합니다.

- 옐로 커리페이스트 : 레드 커리페이스트에 터메릭 간 것을 넣은 것으로, 매운맛을 내며 닭고기, 쇠고기 커리에 사용합니다

- 페낭 페이스트 : 말레이시아 페낭에 기원한 커리로 볶은 땅콩을 갈아 넣어 단맛이 나고 부드럽습니다. 코코넛 밀크를 넣고 요리하는 것이 맛있습니다.

3. 팟타이(Phad Thai) : 태국식 볶음면으로 해물을 주로 써 요리하며 땅콩가루를 얹은 국수입니다. 팟타이는 태국 국민음식으로 불릴 정도로 인기가 많고 쫄깃한 쌀국수 질감과 고소하고 청량감을 주는 가벼운 신맛이 일품입니다. 

4. 수끼 : 끓는 국물에 새우, 조개, 채소, 버섯 , 얇게 썬 고기 등을 데쳐서 먹는 태국식 샤브샤브 요리로 시원하고 담백한 국물맛이 납니다.

5. 디저트 :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타이 커스터드'인데 , 태국이 가진 매운맛, 자극적인 양념맛을 순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간단한 식사는 신선한 과일로 끝맺음이 좋고, 그 외 지역마다 특색있는 디저트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열대 과일로는 람부탄, 용안, 두리안, 리치, 망고스틴 등이 있습니다.

- 북동 지역 : 코코넛 밀크와 찐 라이스, 딱딱한 쌀 강정

- 북쪽 지역 : 단맛의 라이스 푸딩, 롱건(용안)

6. 카오팟 : 볶음밥과 비슷하며, 게살, 새우, 오징어,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여러 재료로 만들며 외국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식사입니다. 파인애플을 첨가해 새콤달콤하게 만들면 카오팟 사파로드가 됩니다.

7. 솜땀(som tam) : 가늘게 친 그린 파파야 샐러드로 땅콩을 첨가해 고소한 맛을 더해줍니다. 더운 계절에 새콤달콤한 맛이 시원함을 느끼게 해주는 요리로 그 외 다양한 얌운센(녹두전분 국수에 해물과 채소를 얌으로 묻힘), 얌누아 양(볶은 쇠고기를 곁들여 야채와 섞음) 같은 샐러드가 있습니다.

 

* 태국 요리 이름

카오(khao) : 밥 

 팟(phad) : 복음

얌(yam) : 샐러드 종류

캥(keng) : 국, 스튜류

톰(tom) : 수프, 찌개류

 

8. 태국의 식사 예절

- 태국 음식은 식품 재료를 잘게 썰어 조리하기 때문에 식사 시 나이프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 기본적으로 식사 시 젓가락을 쓰지만 국물있는 국수를 먹을 땐 젓가락,숟가락을 사용하며, 국물은 들이마시지 않습니다.

- 중국과 같은 하나의 음식을 큰 접시에 모두 담아 개인 접시에 덜어먹는 형식이므로  공동 음식을 먹을 땐 '천끌랑'이라는 공동 스푼을 사용해 각자 식기에 덜어온 다음 손, 젓가락을 사용해 먹습니다.

 

[출처 - 세계음식문화(김의근,김석지,박명주,이선익,이철우 지음), 흥미롭고 다양한 세계의 음식문화(정정희,정수근,권오천,한재원,이상민,조미정 지음)]